NET 논문 소개
- 처음으로
- >
- NET 논문 소개
● 제목 : Exploration of deep-learning-based dose rate estimation model for a large-volume plastic scintillation detector
● 저자 : Byoungil Jeon, Jisung Hwang, and Myungkook Moon
- □ 본 연구에서는 공항/항만 등에서 방사성 물질의 밀반입을 감시하는 포탈모니터로 주로 활용되는 대면적 플라스틱 섬광체를 환경 방사선 모니터링에 활용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의 개발과 해석을 다룬다.
- □ 플라스틱 섬광체를 대면적으로 제작할 경우 기하학적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고민감도를 갖는 방사선 감시기로 활용이 가능하며, 여기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면 단순 계수 기반의 기술보다 더 정확한 방사선량 측정이 가능하다.
- □ 이를 위하여 방사선 포탈 모니터의 계측 스펙트럼으로부터 환경 방사선 감시를 위한 방호량인 주위선량당량(H*(10))을 추정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모델 추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기술과 불확실성 정량화 기술로 모델을 탐구하였다.
- □ 모델 개발을 위한 데이터셋을 생성하기 위하여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통해 대면적 플라스틱 섬광체 검출기를 모델링하였다.





- □ 고민감도를 갖는 대면적 플라스틱 섬광체를 환경 방사선 모니터링에 활용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선량 추정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해석하였다.
- □ 인공지능 모델은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통해 계산된 임의의 에너지를 갖는 감마선에 대한 스펙트럼과 이때의 주위선량당량으로 구성된 데이터로 학습시켰고, 전산모사와 계측 스펙트럼 모두를 이용하여 추정 성능을 확인하였다.
- □ 또한 선량 추정 불확실도를 정량화 하기 위해서 심층 앙상블 기법을 이용했으며, 인공지능 모델 해석을 위해서 SVS 기법을 이용하였다.
- □ 해석 결과 개발된 인공지능 모델은 에너지 스펙트럼을 주위선량당량으로 변환하는 선량 환산 인자(G(E)) 기반의 선량 추정 기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선량을 추정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