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추계학술발표회 및 제58회 정기총회 개최

지난 10월 29일(수) ~ 31일(금) 창원컨벤션센터에서 2025추계학술발표회 및 제58회 정기총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3일간 16개의 워크숍과 530여 편의 학술 논문 발표가 1,500여명의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10월 29일(수)에는 열수력 기술 혁신을 위한 AI 기반 기술, 우주 환경 극복을 위한 방사선 기술, 원전해체 기술 개발사업, 기후·지진 환경 변화에 따른 원전 안전성 평가기술, 고온가스로 국내 개발 현황 등 다양한 주제의 워크숍이 개최되어 많은 참가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특히 지난 춘계학술발표회에 이어 개최되는 원자력 인공지능 강습회는 AI의 일상적 활용과 원자력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다뤄 많은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

10월 30일(목) 오전에는 체코 원전 수주 기념 산·학·연·관 소통을 위한 ‘산업계 세션’이 개최되었다. 글로벌 원전 공급망 및 수출 경쟁력 확보(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남요식 본부장), 원전 수출 통제 및 대응전략(법무법인 대륙아주 김신우 변호사), 글로벌 SMR 개발 현황 및 전망(IAEA 한도희 SMR Platform Coordinator)을 주제로 산업계 현안 발표 및 토의가 진행되었다.

10월 31일(목) 진행된 제58회 정기총회는 이기복 학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박완수 경남도지사, 허성무 국회의원의 축사가 있었으며, 이기복 학회장은 개회사에서 학회의 학문적 성취와 회원 여러분의 헌신이 모여 원자력을 중심으로 국가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대응, 그리고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정책이 펼쳐지리라 믿으며, 이번 학술발표회가 단순한 학술의 장을 넘어 미래 원자력의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방사선의 인체영향’을 주제로 강건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의 강연 및 ‘탄소중립, AI시대의 한국경제와 원자력’을 주제로 박주헌 동덕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의 강연이 이어졌다. 또한 이날 총회에서는 한국원자력대상을 비롯하여 학술상, 기술상, 우수논문상 등의 시상식이 이어 진행되었다.

첫 번째 초청강연자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강건욱 교수는 ‘방사선의 인체영향’을 주제로 방사선의 인체 영향은 선량과 피폭 방식에 따라 다르고, 고선량 피폭에서는 치명적 위해를 주지만 일상적 저선량 노출의 위험은 종종 과장되어 있다고 말하면서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위험 인식과 합리적 소통이 필요하며 불필요한 공포를 줄이는 것이 국민 건강과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두 번째 초청강연자인 동덕여자대학교 경제학과 박주헌 교수는 ‘탄소중립, AI시대의 한국경제와 원자력’을 주제로 탄소중립과 AI기술 혁명은 원전 르네상스를 창출하며, 전 세계는 탄소중립과 AI시대의 현실적 에너지로 원전을 선택하였고 각국의 원전 확대 정책으로 우리나라 원전 수출 여건이 크게 개선 중임에 따라 국내 원전 수출 확대를 위한 제도 정비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개회식에 이어 진행된 만찬에서는 참석자 대상 경품권 추첨 행사가 진행되었다. 이번 경품권 추첨 행사는 ㈜미래와도전, 티보그,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전력기술,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등 총 8개 특별회원사의 협찬으로 다양한 상품이 준비되었다. 1등 상품은 ㈜미래와도전에서 협찬한 Apple ipad Air11로 이정훈 부사장이 추첨 및 증정하였다.

한편 30일(목) ~ 31일(금) 양일 간 각 연구부회 별 초청발표를 포함한 학술논문 구두·포스터 발표에서는 다양한 전문주제로 심도 있는 발표와 토의가 진행되었다.

제12회 한국원자력대상

제12회 한국원자력대상은 우리 학회 제18대 학회장을 역임한 서울대학교 이은철 명예교수가 수상하였다. 이은철 교수는 대한민국의 원자력을 개척한 제1세대 교수로서 첨단기술 자립과 이용개발·안전정책 수립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후학양성, 중장기 연구개발기금 신설, 안전규제 시스템 정착, 일반 국민과 소통 등을 통해 교육-연구-산업의 균형발전을 도모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에 큰 업적을 이루었다. 특히 우리 학회 학회지의 세계적 학술지 성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한국원자력대상은 ICAPP2013 국제학술회의의 잉여금 재원으로 제정되었으며, 우리나라 원자력 학문, 기술 또는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한 1인을 대상으로 한다. 수상자 선정은 우리 학회 포상 및 장학위원회 1단계 심사와 한국원자력대상 선정위원회 2단계 심사, 이사회의 최종 심의 및 확정으로 선정되었으며, 10월 30일(목)에 개최된 제58회 정기총회에서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2,000만원이 지급되었다.

2025년도 학술상·기술상

학술상
2025년도 학술상 수상자는 한국과학기술원 이정익 회원이 선정되었다. 이정익 회원은 초임계 CO2 발전 사이클의 원자력 활용 분야에서 설계 검증 응용의 전주기를 아우르는 선도적 연구성과를 창출하였으며, 2025년에 우리 학회 NET에 게재한 연구 논문은 900회 이상의 인용을 달성하였다. 또한 초소형 원자로, 고온 원자로 등에 적용하는 연구를 통해 원자력 열수력 연구 분야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였다. 학술상은 원자력학술 발전에 현저한 업적을 이룬 개인회원을 대상으로 하며, 학회 연구부회장 또는 학술상 기 수상자 또는 정회원 3인 이상의 추천으로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사회의 최종 승인으로 선정되었으며, 10월 30일(목)에 개최된 제58회 정기총회에서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300만원이 지급되었다.

기술상
2025년도 기술상 수상자는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김기영 회원이 선정되었다. 김기영 회원은 세계 최초 수직모듈형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국내고유모델(COSMOS) 개발 및 상용화로 국내 원전부지내 사용후 핵연료 건식저장시설 사업비 약 4,200억원을 절감하였으며 기술자립·비용절감 및 일자리 창출로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 및 국가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였을 뿐만아니라 국내외 수상 및 지식재산권 확보로 수출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기술력 위상 제고에 기여하였다. 기술상은 원자력기술 발전에 현저한 업적을 이룬 개인 또는 단체 회원 중 1인(단체)를 대상으로 하며, 학회 연구부회장 또는 기술상 기 수상자 또는 정회원 3인 이상의 추천으로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사회의 최종 승인으로 선정되었으며, 10월 30일(목)에 개최된 제58회 정기총회에서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300만원이 지급되었다.

2025춘계학술발표회 및 학회지 우수논문상

2025춘계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으로는 ▲최요나단, 정용훈(한국과학기술원), 이민석(Texas A&M University), ▲이재국, 심형진(서울대학교), ▲Tien-Shee Chee, 이수정, 류호진(한국과학기술원), ▲송제석, 김창락, 김용덕(KINGS), ▲엄현준, 김수민, 정채원, 권예진, 장창희(한국과학기술원), 김채원(한국원자력연구원), ▲안대혁, Hadi Ghaffarian, 장동찬(한국과학기술원), ▲윤석민, 김태호, 최은영, 김설(UST/한국원자력연구원), 이창화(한국원자력연구원), ▲고혁재, 김태휘, 박군철, 조형규(서울대학교), ▲이윤석, 김태완(인천대학교), ▲고유정, 조형규(서울대학교), ▲김원준, Nguyen Duc Hay, 박성군(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재훈(한국원자력연구원), ▲채영호, 구서룡(한국원자력연구원), ▲김해리(한국원자력연구원/충남대학교), 감다영, 김혜현, 임종명(한국원자력연구원), ▲오석원, 유승준, 이준호, 박성본, 김호경(부산대학교), ▲이명원, 김동하, 성충기(한국과학기술원), 김정희(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유재환, 정귀운, 김병현(경북대학교), ▲박수연, 유봉, 최재영, 김응재, 박윤원(BEES Inc.), ▲김태련, 김종현(한국과학기술원), ▲양원석, 고근우, 박태훈, 정경재, 최성열(서울대학교) 총 19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10월 30일(목)에 개최된 제58회 정기총회에서 각 논문별 주저자에게 상장과 상금 각 30만원이 지급되었다.

2025 학회지 우수논문상으로는 ▲김규태(동국대학교), ▲박지훈, 조혜선, 이상현, 오상원, 나만균(조선대학교), ▲채영호(한국원자력연구원), 이찬영(현대건설), 한상민(삼성전자), 성풍현(한국과학기술원), ▲이동현, 유지민, 김휘융, 홍동진, 윤병조, 정재준(부산대학교), ▲강정성, 이승준(울산과학기술원), ▲이윤우, 윤석주, 강도규, 양원석(한국과학기술원), 김나영, 김형빈, 최성열(서울대학교), Miloꠑs Burger, Igor Jovanovic(University of Michigan) 총 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10월 30일(목)에 개최된 제58회 정기총회에서 각 논문별 주저자 또는 책임저자에게 상장과 상금 각 100만원이 지급되었다.

두산원자력기술상·HANA기술상·원자력과 사회소통상·박창규 PSA 대학(원)생 논문상·퀴리상·원자력리스크 및 중대사고 분야 우수연구자상, 열수력 우수연구상

두산원자력기술상
두산원자력기술상 수상자는 한국전력기술㈜ 이근우 회원이 선정되었다. 이근우 회원은 액화공기 기반 에너지저장과 원전 안전설비를 통합한 융합기술 개발로 원전의 안전성 및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였고, 원전과 재생에너지간 연계기술로의 기술개발 실용성과 원자력 분야를 포함한 에너지 산업 전반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확장성을 확보하였다. 두산원자력기술상은 원자력공학분야에서 우수한 업적을 이루었고 장래가 촉망되는 회원을 대상(시상일 기준 만 50세 이하)으로 하며 학회 연구부회장 또는 두산원자력기술상 기수상자 또는 정회원 3인 이상의 추천으로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사회의 최종 승인으로 선정되었으며,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1,000만원이 지급되었다.

HANA기술상
HANA기술상 수상자는 한전원자력연료㈜ 김윤호 회원이 선정되었다. 김윤호 회원은 사고저항성핵연료 개발 및 상용 제조기술을 확보하여 HANA 성능 검증 및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였으며, 핵연료 및 원자력재료 원천기술 확보 및 국산화에 기여하였다. HANA 기술상은 HANA피복관 기술실시 보상금으로 (구)HANA 피복관 개발과제 연구원들에게 지급된 보상금 중 1억원을 개인 기부를 통해 제정된 상으로 핵연료 및 원자력재료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업적을 이룬 회원을 대상으로 하며 학회 연구부회장 또는 HANA기술상 기수상자 또는 정회원 3인이상 또는 기부자의 추천으로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사회의 최종 승인으로 선정되며,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500만원이 지급되었다.

원자력과 사회소통상
원자력과 사회소통상 수상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조동건 회원이 선정되었다. 조동건 회원은 사용후핵연료 저장 안전성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지하처분연구시설(KURT)에서 진행 중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기술 개발 현황을 국민들에게 적극 알림으로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대한 사회적 불안해소와 신뢰도 제고에 기여하였다. 또한 토론회 및 공론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 제정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원자력과 사회소통상은 원자력과 사회 또는 국민과의 소통에 기여한 공로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대상으로 하며,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사회의 최종 승인으로 선정되었으며,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300만원이 지급되었다.

박창규 PSA 대학(원)생 논문상
박창규 PSA 대학(원)생 논문상 수상자는 중앙대학교 황승현 학생이 선정되었다. 박창규 PSA 대학(원)생 논문상은 한국원자력학회 춘계 및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 중 “원자력안전 연구부회내 PSA 분야” 대학(원)생 저자 1인을 대상으로 학문 정진 의욕을 고취하기 위하여 박창규 회원 기부금으로 제정된 상으로 원자력 안전 연구부회의 추천,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사회의 최종 승인으로 선정되며,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100만원이 지급되었다.

퀴리상
퀴리상 수상자는 주세민(KAIST), 최민경(한양대학교), 황시아(울산과학기술원) 학생이 선정되었다. 퀴리상은 원자력공학 전공의 여학생 중 연구업적 또는 연구능력이 우수한 사람을 선발하여 여학생들의 학문 정진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PBNC 2012 수익금 및 개인 기부금으로 제정된 상으로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사회의 최종 승인으로 선정되며,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각 100만원이 지급되었다.

원자력 리스크 및 중대사고 분야 우수연구자상 (중대사고 분야)
원자력 리스크 및 중대사고 분야 우수연구자상 중대사고 분야 수상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김종태 회원이 선정되었다. 김종태 회원은 중대사고 시 격납건물 건전성 평가를 위한 수증기 및 가연성 기체의 3차원 거동 해석 코드 Contain3D를 개발하여 국내 원전의 수소 안전성 평가에 활용하고, SPARC 압력용기를 이용한 피동촉매수소재결합기(PAR) 실험설비를 구축하여 국산 PAR의 수소 재결합 특성을 평가하는데 기여하였다. 원자력리스크 및 중대사고 분야 우수연구자상은 원자력 리스크 및 중대사고 분야와 관련하여 탁월한 학문적, 기술적 업적을 이룬 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하며, 원자력안전 연구부회장 또는 정회원 3인의 추천,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사회의 최종 승인으로 선정되며,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200만원이 지급되었다.

열수력 우수연구상
열수력 우수연구자상 수상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진화 회원이 선정되었다. 양진화 회원은 다차원 벽면/계면 마찰계수 국소측정기법 및 모델을 개발하였고 SMART100 CPRSS의 열수력 검증시험 수행을 통한 안전성을 검증하였으며 i-SMR 종합효과시험 장치 척도해석 및 기본설계에 기여하였다. 열수력 우수연구자상은 열수력 연구 분야에서 탁월한 학문적, 기술적 업적을 이룬 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하며, 원자력 열수력 연구부회장 또는 정회원 3인의 추천,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사회의 최종 승인으로 선정되며,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200만원이 지급되었다.

2025년도 한국원자력학회(두산에너빌리티 후원) 장학증서 및 NUCHI 장학증서

2025년도 한국원자력학회(두산에너빌리티㈜ 후원) 장학생에는 김선빈(울산과학기술원), 류제모(중앙대학교), 박동혁, 양희준(경희대학교), 박재현(KAIST), 박태훈(서울대학교) 학생이 선정되었다. 동 장학생은 각 대학의 추천과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로 선정되었으며, 장학생에게 장학증서와 장학금 각 300만원이 지급되었다.

원자력 계측제어, 인간공학 및 자동원격 연구부회에서 수여하는 NUCHI 장학생은 이영학(중앙대학교) 학생이 선정되었다. 본 장학금은 원자력 계측제어, 인간공학 및 자동원격 연구부회에서 원자력관련 학과 학부생 또는 대학원생 중 1인을 선정하여 수여하며 장학생에게는 장학증서와 장학금 150만원이 지급되었다.

NURETH-21 국제학술대회, 9월 초 부산에서 성공리에 마무리

제21차 국제원자로열수력학술대회(NURETH-21)가 2025년 8월 31일부터 9월 5일 기간에 부산 BEXCO에서 5일간의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KNS 열수력 부문(THD)이 주관하고, IAEA, NEA, ANS, ENS, AESJ 등 후원기관들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명성을 바탕으로 금번 대회는 원자로 열수력 및 안전 분야에서 최고의 국제 포럼으로서의 유산을 이어갔다.

금번 제21차 대회(NURETH-21)는 2003년 서울에서 개최된 NURETH-10 대회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개최되었다. 금번 대회에는 37개국 204개 기관에서 960여명의 전문가 참석 하에 논문 발표와 협력 논의 등을 통해 원자력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대회의 주제인 “원자력 미래를 위한 열수력의 혁신(Innovation in Thermal Hydraulics for the Nuclear Future)”은 차세대 원자력 기술의 성능과 안전성의 향상, 그리고 탄소 중립 및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는 데 있어 원자로 열수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을 강조했다.

본 대회의 프로그램은 학생 및 숙련된 전문가 등을 위한 포괄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기술 세션으로는 6개의 기조연설, 9개의 초청 강연, 40명 이상의 패널리스트가 참여한 8개의 패널 세션이 포함되었다. 총 725편의 기술 논문이 10개의 병렬 구두 세션과 학생 및 포스터 세션 등 133세션장에서 발표되었으며, 제1저자 소속을 기준으로 프랑스 CEA (22편), 한국 KAERI (20편), 미국 ANL 연구소 (17편) 등이 주요 기여 기관으로 포함되었다.

발표된 논문들의 기술적 내용을 바탕으로 원자로 열수력 분야의 주요 동향은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
• 경수로(LWR) 분야 연구가 우세: LWR 관련 논문이 전체의 44%를 차지했고, 이 중 PWR 관련 내용이 74%를 차지했다.
• 차세대 원자로 열수력: 비수냉각 원자로에 대한 다양한 주제의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는데, 용융염 원자로(MSR, 24%), 납 냉각 고속로(LFR, 22%), 소듐 냉각 고속로(SFR, 19%), 고온가스 원자로(HTGR, 17%) 관련 내용이 포함되었다.
• 인공지능(AI) 적용 연구: AI 적용이 중요한 새로운 추세로 평가되며, 72편의 논문이 AI 관련 주제로 발표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CHF 예측 (15편), CFD 계산 가속화 (12편), 실험 데이터 분석 (10편) 등이 포함된다. 미국과 중국이 이 분야에서 많은 기여를 했다.

이상의 풍부한 학술발표 활동 이외에도, 원자력 기술 강국을 상징적으로 잘 보여줄 수 있는 산업시찰 프로그램 즉, 신고리 3&4호기 원전 현장, 창원의 두산에너빌리티 제작 현장,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방문을 통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 원자력 기술을 널리 알렸으며, 이외에도 환영 리셉션, 문화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네트워킹 기회가 제공되었다.

다음 대회(NURETH-22)는 2027년 미국 덴버에서 개최 예정인 소식을 마지막으로 5일간 개최된 동 대회가 9월 5일에 공식 폐막되었다. 금번 국제학술대회의 성공적인 준비와 운영을 통하여 국내 원자력 기술의 수준 및 성과를 국제적으로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지난 여러 해 동안 본 대회의 유치 분위기 조성 및 유치 준비 활동, 그리고 2023년 1월 유치가 확정된 후 대회의 성공적인 준비와 운영을 위해 2023년 봄부터 함께 한 조직위원 여러분들, 국내 원자력 유관기관의 후원 관계자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끝으로 금번에 부산에서 맺어진 강력한 국제적 유대가 "원자력의 밝은 미래를 위한 공동의 노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하며, 본 대회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은 한국원자력학회와 부산광역시 관계자들의 노고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한다.

송 철 화
NURETH-21 대회장
ANS Fellow, NURETH Fellow
chsong@ust.ac.kr


대한민국을 위한 에너지 정책 길라잡이 발간

우리 학회에서는 지난 10월 28일 국내 원자력 분야 최고 전문가 13인이 참여하여 현재 에너지 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미래 100 년을 위한 과학적이고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종합서인 「대한민국을 위한 에너지 정책 길라잡이」를 발간하였습니다. 예스 24 행정정책분야 베스트셀러 2위와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정치사회 분야 78위에 등극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이미지 클릭 시 관련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2025년도 연회비 납부 및 회원정보 업데이트 안내

한국원자력학회
mypage바로가기 한원회2025-14호 납부현황 확인 및 납부방법 회원정보 수정 메뉴얼 한국원자력학회


한국원자력학회 회원 가입 독려 안내

우리 학회는 회원 여러분들의 전폭적인 지원과 참여에 힘입어 회원수 6,000명이 넘는 국내 유수의 학술단체로 성장하였습니다.

우리 학회에서는 최근의 엄중한 원자력 현안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회원 수 증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회원 여러분들의 소속직원분들이 우리 학회에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독려를 부탁드립니다.

한국원자력학회 회원가입 방법
가입절차

우리 학회의 회원으로 가입을 원하시는 분은 홈페이지 www.kns.org 을 통해 회원가입에 필요한 사항을 기입하고, 회원자격에 해당하는 가입비 및 연회비를 납부하시면 회원자격이 주어집니다.

학회 홈페이지(www.kns.org)
회원라운지
회원가입안내
회원종류를 선택하여 가입
회비결제

회비결제 방법 온라인카드, 실시간계좌이체, 가상계좌 중 선택

가입자격

정회원 : 입회비 20,000원 / 연회비 50,000원
(대학원 재학생은 입회비 5,000원 / 연회비 20,000원)

원자력공학 또는 이에 관련된 학문을 전공한 자 및 원자력사업에 종사하고 있는 자와 원자력의 발전 및 보급에 기여한 자.

평생회원 : 입회비 20,000원 / 평생회비 500,000원

원자력공학 또는 이에 관련된 학문을 전공한 자 및 원자력사업에 종사하고 있는 자와 원자력의 발전 및 보급에 기여한 자.

학생회원(학부생) : 입회비 면제 / 연회비 5,000원

대학 또는 이와 동등한 기관에서 원자력공학 또는 이에 관련된 학문을 전공 중에 있는 자.

회원혜택

- 춘/추계학술발표회시 등록비 회원가 적용

- 정회원을 대상으로 하는 포상 추천 및 피추천 자격 부여

- 평의원, 임원, 연구부회장 자격 및 투표권 부여

회비납부 및 신입회원 가입 현황

그 동안 우리 원자력학회는 회원님들의 전폭적인 지원과 참여에 힘입어 장족의 발전을 하였습니다. 국제적인 학술지로써 발돋움하고 있는 우리 학회의 학술지인 NET와 소식지 뉴토피아, 국내외 여러 Symposium 및 Workshop들을 이끌고 있는 연구부회의 활발한 활동, 여러 장학사업의 전개와 정책개발 등은 우리 학회의 새로운 면모를 국내외에 발휘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우리 학회의 활동과 사업은 여러 회원님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집니다. 우리 회원님들이 납부하여 주시는 회비는 우리 학회 활동의 원동력이 됩니다. 아직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들은 회비납부에 적극 동참을 바랍니다.

아래의 기간 동안 연회비를 납부해주신 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기관별). 명단이 누락되신 분들은 학회 사무국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회비 납부현황 (회비납부기간 : 2025.9.8 ~ 2025.11.7) 정회원

동국대학교 : 이동규

서울대학교 : 장재환

세종대학교 : 이기만

오라노코리아(유) : 이재민

제주대학교 : 김태석

㈜아나스 : 김재환

창원대학교 : 김병직

한국과학기술원 : 박준우, 양태원

한국기계연구원 : 송단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김도형

한국원자력연구원 : 구본승, 권준엽, 김귀영, 김사길, 김준환, 김창회, 김호식, 류동석, 박경우, 박윤범, 박지훈, 서경원, 손인우, 오승용, 오승환, 유동한, 윤인호, 이동화, 이은제, 이종희, 임재욱, 장대식, 최권재, 한건영, 한보영, 홍지우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 : 김선일, 안준열, 이윤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정성문

한전원자력연료㈜ : 김재호, 김채린, 하성우

정회원(대학원생)

서울대학교 : 김재혁, 서영찬, 이성빈

조선대학교 : 박재옥, 이호연

포항공과대학교 : 정지송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남철

한양대학교 : 송채현

학생회원

경희대학교 : 김민석, 이진옥

서울대학교 : 김준식

울산과학기술원 : 오지윤

신입회원 가입현황 (회비납부기간 : 2025.9.8 ~ 2025.11.7) 평생회원

한국전력기술㈜ : 양인수

정회원

경북대학교 : 손윤희

(재)소형모듈원자로규제연구추진단 : 김진곤

㈜무진기연 : 김두환

㈜포미트 : 강기수

지엔피시스템 : 박일훈

충남대학교 : 유호영

포항공과대학교 : 서동균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 양석환, 최휴창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도연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오상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조정민

정회원(대학원생)

고려대학교 : 박신제

동국대학교 : 최예은

서울대학교 : 김지훈

울산과학기술원 : 윤자영, 이재훈

조선대학교 : 송창주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Muhammad Hassan Mashi, 이용재

한양대학교 : 홍성민

홍익대학교 : 최수빈

학생회원

동국대학교 : 김혜민, 유채원

부경대학교 : 김동혁, 안형진, 정상현

세종대학교 : 양낙웅, 이도영

울산과학기술원 : 신민제

중앙대학교 : 김유섭

충남대학교 : 김다은, 민경준

포항공과대학교 : 서동균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Ahmed Abdelrahman

한양대학교 : 강인환, 김창완

홍익대학교 : 엄윤서

NET 11월 목차
NET 11월 목차
한국원자력학회 회원 대상 안내/홍보 이메일 발송 방침 안내
아이콘2
타 기관의 협조 요청으로 학회 회원 대상의 안내/홍보 메일 발송은 하지 않는 것으로 방침이 정해졌음을 안내합니다.

다만, 학회 주관 행사 및 공동주관 · 후원 행사는 전회원 대상으로 이메일 안내가 가능합니다.
학회 주관 행사 및 공동주관 · 후원 행사가 아닌 경우 학회 홈페이지 알림마당에 게시 가능합니다.

학회 홈페이지 알림마당 주소 : https://www.kns.org/boards/lists/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