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단 소개
(재)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이하 사업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3개 부처가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추진을 위해 공동 예타 사업 형태로 설립한 기관입니다.
-
비전하우스 체계
사업단의 미션, 비전, 핵심 가치, 중점 추진전략 등으로 이루어진 비전하우스 체계는 핵심기술 개발사업의 성공적인 완수를 위한 사업단의 궁극적인 목표 및 중⋅장기 발전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
사업 소개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사업⌟은 저장, 처분, 규제 분야에 걸쳐 총 3개의 전략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9년까지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핵심 솔루션을 개발하고 관리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전략과제1 - 저장안정성 실증기술확보
사용후핵연료 저장 안전성 실증 기술과 사용후핵연료 안전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종합적인 사용후핵연료 장기저장 안전성 기반 확보-
사용후핵연료 및 저장시스템 안전성 실증기술 개발
· 사용후핵연료의 장기저장을 위한 안전성 및 설계성능 검증을 위한 실증기술 확보 사업
· 엔지니어링 기반 안전성 평가 취약분야인 시험실증기술을 확보하고 관련 자료를 생산 -
사용후핵연료 전주기 안전정보 목록 표준화 및 정보시스템 구축
· 기관별(발생자, 규제자, 처분사업자)로 산발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 안전정보 목록을 표준화하여, 전주기(발생, 운반, 저장, 처분)별 체계적인 통합 안전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업
· 사용후핵연료 관리 사업의 대국민 수용성 확보와 미래세대를 위한 안전정보 운영체계 개발 -
주요 성과물
-
사용후핵연료 및 저장시스템 안전성 실증기술 개발
-
전략과제2 - 처분안전성 규명 및 실증기반 구축
안전한 사용후핵연료 처분 관리와 처분 안전성에 대한 국민 이해도 증진을 위해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안전성평가 및 실증 기반기술 확보-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 확보를 위한 부지적합성 평가 기술
·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 확보를 위한 부지선정 단계별 최적 평가 방안 및 기법, 지침을 개발하는 사업
- 처분부지 선정을 위한 배제/선호 요건, 부지 적합성 평가, 부지특성 정량화 등 기술개발 -
개념단계 종합안전성 입증 기술개발
· 사용후핵연료 처분 전 단계(폐쇠 후 까지)의 통합 안전성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과학적 논거를 확보함으로써 안전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반확보 사업
- 사용후핵연료 처분에 대한 품질보증, 종합안전성 입증 체계를 구축하고 본 사업에서 전체기간 동안 얻어지는 연구결과물을 수록 -
심층처분시스템 성능 실증 기반 기술 개발
·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성을 URL에서 실증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기반기술을 사전에 확보하는 작업
-
주요 성과물
-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 확보를 위한 부지적합성 평가 기술
-
전략과제3 - 심층처분시스템 안전규제 기반 구축
국내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개발을 뒷받침하고 객관적 근거 기반의 처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처분 규제기반 확립-
심층처분시스템 세부규제요건 개발
- 국내 처분시스템 개발단계별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안전요건과 부합성기준 등 규제요소를 수립하는 사업
-
사용후핵연료 전주기 안전정보 목록 표준화 및 정보시스템 구축
· 한국형 처분시스템 개발의 규제부합성 확인에 필요한 안전요소별 검증방법을 개발하고 연구개발 적합성 검토 등 규제를 지원하는 사업
- 처분시스템 단계별 개발의 타당성과 안전성 검증체계 구축 -
주요 성과물
-
심층처분시스템 세부규제요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