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 제1원전 1호기, 오는 6일 최초로 폐로 준비시작

    국민투표에서 현 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제동이 걸린 가운데 대만 제1원전 1호기가 최초로 폐로 수순을 밟게 됐다. 빈과일보 등 대만언론은 1978년 12월 6일 대만 최초로 가동을 시작한 제1원전 1호기가 오는 5일 40년의 상업운전을 마치고 다음날인 6일 폐로 준비작업에 들어간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대만전력공사는 2015년에 이미 제1원전(1, 2호기) 폐로계획을 세웠다며 현재 제1원전(1, 2호기)은 환경 평가와 환경보호서(EPA)의 심사단계에 있고 통과된 뒤 최종적으로 원자력위원회의 폐로 허가를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자세히보기 출처 : 연합뉴스
  • 日, 소형원전 개발 나선다..재생에너지 불안정성 보완

    일본 경제산업성이 2040년께 실용화를 목표로 소형원전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도쿄신문에 따르면 이는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산하고 있지만, 안정적인 전력 수급 확보와 온실가스 감축 등을 위해서는 원전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소형원전은 약 100만㎾인 기존 원전 출력의 3분의 1 수준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건설 비용도 대폭 절감이 가능하고 원전 출력도 조정하기 쉽다. 각국이 1980년대부터 개발에 나섰지만, 아직 실용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런 방침은 지난달 14일 경제산업성이 주최한 국제회의에서 공개됐다. 경제산업성 측 참석자는 회의에서 일본의 원전은 대부분 2040년에 수명을 다하는 만큼 그 이후에도 전력의 일정 부분을 원전으로 충당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원전 건설이 필요한 만큼 준비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자세히보기 출처 : 파이낸셜뉴스
  • 中, 日 원전 사고 후 후쿠시마 주변 쌀 첫 수입 허가

    중국이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때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이후 금지했던 원전 주변 지역 농산물 수입을 재개했다고 홍콩 명보가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방중(訪中) 이후 중·일 관계가 개선된 데 따른 것이다. 중국 세관 당국은 전날 일본 후쿠시마 원전 주변에 있는 니가타(新渴)현에서 재배된 쌀 수입을 허용했다. 중국은 원전 폭발 사고 이후 후쿠시마를 비롯해 미야기(宮城)·이바라키(茨城) 등 원전 주변 10개 현에서 생산된 식품과 사료 수입을 금지해 왔다. 중국 당국은 후쿠시마현 주변에서 생산된 농산물·식품을 수입하려면 식품안전 기준을 철저하게 준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세히보기 출처 : 조선닷컴
  • 英, 20년 만에 '親원전' 회귀…佛 마크롱, 원전 축소 공약 '백지화’

    프랑스, 대만, 일본, 영국 등 탈(脫)원전을 추진했던 주요국은 최근 잇따라 정책을 폐기하거나 속도 조절에 나서고 있다. 원자력발전 없이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현실적인 이유에서다. 중국은 최신형 원자력발전소를 잇따라 가동하면서 아예 미국 못지않은 ‘원전 대국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현재 75% 수준인 원전 의존율을 2025년까지 50%로 낮추겠다는 대통령선거 공약을 현실적으로 지키기 어렵다”며 국민에게 양해를 구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원전 의존율을 낮추는 계획을 10년 뒤로 미루겠다고 발표했지만 원전 축소 정책을 사실상 접은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자세히보기 출처 : 한국경제
  • IEA "전세계 원전 2040년까지 46% 늘 것“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전 세계 원자력 발전량이 2040년까지 46%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미국 CNBC의 보도에 따르면, IEA는 2040년까지 증가하는 원전 발전량의 90% 이상은 중국과 인도가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원자력 산업 현황 보고서 2018'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원전 발전량은 2503TWh(테라와트시)였다. 46%가 늘면 원전 발전량은 3654TWh에 달한다.미국과 프랑스에 이어 세계 3위의 원전 대국인 중국은 지난해 원전 3기를 추가해 총 41기의 원전을 가동 중이다. 지난해 중국의 원전 발전량은 전년 대비 18%(35TWh) 급증했다. 중국은 13차 5개년 계획(2016~2020년)에 따라 에너지 효율 제고와 탄소 저감, 화석연료에서 청정에너지로의 에너지원 다변화를 추진하기 위해 원전 확대 정책을 펴고 있다.

    자세히보기 출처 : 조선비즈